
와인 고르는 법 간단하게 소개합니다.
와인에 관심이 생겨서 좀 마셔봐야겠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와인 중급자 분들이야 소규모 와인샵이나 이마트 코스트코 돌아다니며 수집하시겠지만
초급자 분들이야 뭐가 뭔지 모르니 시작하기도 애매하고 그냥 사자니 눈탱이 쳐 맞을것 같고
그래서 시작하기 두려운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0. 먼저 코스트코 회원가입하세요.
연회비는 와인만 사도 뽑고 남습니다.
어설프게 백화점 장터 이마트 장터가서 눈탱이 맞고 사느니 코스트코 가서 사는게 낫습니다.
1. 나는 알콜이 필요할뿐 맛은 필요없다.
왜 맛이 필요없나요~ 맛있으면 더 마시고 싶은게 인지상정
하지만 각자 주머니 사정이 다르니 ...
알콜을 보충하더라도 어느정도 타협은 해야겠죠.
근데 와인으로 알콜을 보충하는건 정말 자살행위라고 생각합니다.
이놈의 저가 와인들은 쓰지않고 달달하니 마셔도 취하지도 않는것 같고
그래서 점점 싼 와인 찾다가 간이 파업하는 날이 오죠. 쥐도새도 모르게
그래서 알콜 보충용으로는 비추이고 정 마시고 싶다면 디아블로 하프보틀 375ml 사서 홀짝홀짝 드시길
지금도 파는지 모르겠네요. 기억이 가물가물 와인 매대 뒤쪽에 박스단위로 파는 것들 있습니다.
디아블로를 하급 저가 와인으로 취급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그정도로 쓰레기 와인은아닙니다.
추가로 좀더 돈을 쓴다면 이마트는 에라주리즈 맥스 리제르바 2만원 미만이면 고민말고 집으시면 됩니다.
코스트코에 들어가는지 모르겠네요. 그 가격대에 적수가 별로 없....
2. 달달이 탄산 와인 마시고 싶다
가서 샴페인 같은거 아무거나 집으시면 신맛나고 달지 않은 드라이한 스파클링 와인 고를 수 있습니다.
잘모르겠으면 버니니 집으세요. 세일할 때 쟁여두시면 좋습니다.
와인 잘모르는 여자들도 버니니는 참 좋아합니다.(계속 먹다보면 질립니다..
그럼 화이트 와인으로 갔다가 레드와인으로 넘어갔;;;)
대체적으로 모스카토 말 들어간거 고르면 다 맛있긴한데
뭐 또 뭐는 맹맹하니 뭐는 느끼하니 이런 얘기나오고 한병을 다 못마시는데 개봉하면 보관은 어쩌니저쩌니
버니니 드세요~ 그냥
심지어 빨간 버니니 로제는 잔에 따르면 이쁨 ㅋ
3. 와인을 좀 시작해봐야겠다.
공부해야합니다.
본인이 답답하면 공부하는 스타일인가요? 그럼 공부하면 됩니다.
본인 답답하면 포기하는 스타일인가요? 그냥 이것 저것 마셔봅니다. 입에 맞는거 찾아야죠.
와인은 가격대가 참 다양합니다.
앞서 언급한대로 마트나 와인샵 가서 눈탱이 맞느니 코스트코에서 적당한 가격에 사는게 낫다고 말씀드렸는데
코스트코의 장점은 반품이 자유롭다는겁니다. 이유도 딱히 묻지 않아요.
물론 와인 마시다가 입에 안 맞는다고 반품하는 사람은 없겠죠? 상한 와인이라면 몰라도
그래서 와인을 잘못샀다거나 했을 때 반품하기 쉽고
무엇보다 가격이 일반마트에 비해 저렴한 편이며
어떤 와인의 경우는 최저가보다 더 후려쳐서 파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말 좋은 와인인데(주로 7~8만원대) 가격도 전국 최저가 심저어 도매 와인샵 행사가 보다 싼데 아무도 안사감 ㄷㄷ
대체적으로 라인업도 좋은편입니다. 물론 맛없는 와인도 있긴하지만
전반적으로 괜찮은 와인들이 많은 편이니 고르기도 좋은 편입니다.
트레이더스와 비교해도 가격 면이나 와인품질도 더 좋은 편이고요.
와인이라는게 품종별로 산지별로 제각각이라 추천 받는다 해도 본인 입맛에 안맞으면 맛없는 와인입니다.
물론 초고가 와인의 경우 초보가 마셔도 와~~ 소리 나오는 와인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와인 좀 마신다는 사람들이 데일리로 마시는 3~5만원대 와인의 경우
국가/품종 별로 워낙 맛의 차이가 크고 호불로가 갈리는 편이라
본인 입맛에 맞는 와인을 찾는게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것저것 마셔보고 본인 입맛에 또는 같이 마시는 배우자 입맛에 맞는 와인을 찾는 수 밖에 없습니다.
단적인 예로
저는 중저가 미국와인을 마시지 않습니다.
딱히 장기숙성할 필요도 없고 바로 따서 마셔도 충분히 맛있는데 잔당감과 느끼함 때문에 마시지 않습니다.
또 다른 지인은 미국 와인만 마십니다. 잘익은 과실향이 너무 좋다면서 말이죠.
서로 입맛이 다른거지요.
코스트코 와인은 미국와인과 타국가 와인을 대체적으로 분률 해놓았습니다. 고르기 쉬운편이지요.
여러가지 마셔보고 본인입에 맛는 것을 찾는 방법이 제일 좋습니다.
추가적으로 와인 병 목에 JS 94점 뭐 이런거 써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제 막 입문 하시는 분들이라면 JS(제임스 서클링 할배) 점수 보고 사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점수를 좀 퍼주는 경향이 있기는하나 JS 93점 이상이면 초보자가 마셔도 꽤나 맛있는 와인일 확률이 높습니다.
(평론가 마다 차이가 있지만 제임스 서클링 할배가 가장 대중적인 입맛을 반영하는 편입니다.)
4. 코스트코 와인 추천
사실상 개인 입맛이 다르기 때문에 이게 좋다 추천하기 어려운 점이 있긴합니다.
다만 여러가지 맛을 보고 입에 맞는 와인을 고르는게 가장 좋다고 생각됩니다.
어차피 코스트코에 등록했다는 것 자체가 와인에 관심이 많다는 뜻이니까
중저가 중에 몇개만 추천드리자면~ 입에 촤~악 감기는 것들로
(사실 아래 추천하는 것들보다 섬세하고 우아한 와인들도 있지만 지금 시작하는 와인입문자에게 섬세하고
우아한건 그냥 포도맛 나는 와인일뿐...)
화이트
조셉 드루엥 뿌이휘세 - 4만원 중반(한잔 따르고 1시간 정도 열어놔야 맛있어집니다. 가급적 온도 유지 11도)-
프랑스 화이트 뿌이휘세는 뭐 구구절절 설명안해도~
캔달잭슨 샤도네이- 누가 마셔도 맛있는 오크 샤도네이
레드
에밀리아나 코얌 - 4만 중반(한잔 따르고 1시간 반 정도 열어놔야 맛있어집니다. 가급적 온도 유지 18도)
캔달잭슨 카버네 쇼비뇽 - 얼마였드라...2.7만? 3만? 암튼 잔당감이 좀 있어서 호불호가 있을 수 있으나
품질 자체는 좋은 편(루이스 마티니 나파밸리 까쇼가 4만 중반이면 차라리 그걸 집는게 낫습니다. 개인적으로 추천)
달달이 스파클링
카사리토 모스카토 다스티 - 2만 정도? 더럽게 긴 병에 담겨 있음 가끔 세일도 함(냉장고 넣어놨다가 드세요)
아..이거 호불호가 있을거 같아 추가 설명해드리는 모스카토 중에 상급 모스카토가 있긴합니다.
3만원 정도 라스피네타 모스카토 다스티 브리꼬 꽐리아(꽐라? 어감이 그지같네. 브리코 콸리아 라고 읽기도 함)
이거 산뜻하니 고급진 느낌 나긴 하는데 모스카토는 사실상 많이 마시면 질리기 때문에;;;;
그닥 고급 모스카토라고 해도 추천드리지는 않음
왠만한 모스카토 다스티 이름 붙은건 다 맛있음.
이슈가 좀 있는 와인 추천(쓰레기 와인이라고 유튜버한테 저격 당하고 재고가 쌓이고 있는;;;)
물론 저렴한재료로 저렴하게 만든 와인일 수 있지만
와인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산도 높은 이태리 바롤로나 떫다 못해 땡감 먹는 느낌은
최근 빈티지 프랑스 보드로 와인 마시게 하는것 보다 낫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드네요.
레드 쁘띠쁘띠
하이트 쿵푸걸 리슬링
이름 어려워서 모르겠다 -> 커크랜드 시리즈 사세요. 기본은 이상은 합니다.
가격대 품종 다양~ 커크랜드 시리즈 와인 다 마셔보면 자기가 좋아하는 품종이나 국가도 알아볼수 있음 ~ 개이득
(커크랜드라고 미국 와인아닙니다 ㄷㄷㄷㄷ 각 와인들마다 각 나라에서 위탁 생산해서 라벨 붙인거에요.
괜찮은 생산자에게 위탁 생산한것도 있;;;)
좀더 고급을 원한다?
대체적으로 7만원대 이상부터 10중후반 쪽까지 백화점 대비 가격이 싼편입니다.
어떤걸 집어도 맛있긴한데 장기 숙성용으로 잘못 골라 뽕따하면 개맛업;;; 특히 최근 빈티지 이태리나 프랑스 등등
바로 따서 마실거면 가급적 호주나 미국쪽으로 고르시길..(대표적으로 몰리두커 박서-
수입사에서 더럽게 비싸게 팔아서 추천하기 좀 그럼)
와인셀러 사서 보관생각해서 구입할거면 티냐넬로 추천
6월 말 7월 초 프랑스 보르도 그랑크뤼 와인들 최저가로 들어옵니다.선물용으로 이만한게 없죠.
물론 괜찮은 것들은 10만 전후로 시작하니 생각을 좀 하셔야하고
1등급 무통 로칠드 샤또 마고 같은것들 100만원 언저리에서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고...
(싼데비싸네? 그런느낌~ 구매해서 뽕따하면 맛없습니다 15년 이상 셀러에 모셔둘생각으로다가...
걍 그럴거면 구입하지 말자...)
5. 와인에 빠져서 본격적으로 시작해봐야겠다.
공부하셔야 공부...국가별 품종 산지 등등
공부가 쉬운건 아니니...
이제 소규모 와인샵을 투어할 차례입니다.
와인카페도 가입사셔서 요즘 이슈가 무엇인지 어떤 것이 맛있는지 파악하셔야 하는데
요즘 같이 sns가 발당한 시대에는 블로거나 인스타 그램에서 핫하다는 와인만 골라 마셔도 1년 그냥 지나갑니다.
때마침 소규모 와인샵들이 유행하는 와인들만 추려서 카톡으로 보내주네요? 거기서 골라도 핵맛
추천드리는 와인샵은
광진구 자양동 구판장- 핫한 와인들도 가득, 뭔 시장 구석 마트에 와인을 팔아? 하지만 들어가보면
신세계 와인 러버들의 성지~ 온누리 상품권 결제 가능해서 가격 10% 할인됨. 친절함. 매우 친절함
단점은 주차공간 헬~
경기 김포 떼루아 - 최저가(아닌경우도 있지만 행사때는 스페셜 오퍼나 세트는 전국최저가), 설명이 필요 없음.
불친절함(장터때 더럽게 바빠서 불칠절함. 300만원치 사도 그 이상을 사도 친절하지 않음. 친절하지 않다기 보다
워낙 바쁘니 약간 퉁명스럽다고 해야할까? 그게 불친절 한거야!!!) 그래도 최저가~ 오지에 있어요 자차 필수~
6. 마지막 이마트 와인 고르기
이마트는 눈탱이 치는 것도 있고 아닌것도 있고 해서 의외로 와인 고르기 쉽지 않은 곳이 이마트입니다.
5월 10월에 하는 장터만 봐도 핫한 와인들 행사가라고 적어 놓은거 보면 소규모 와인샵 보다 몇만원 더
비싸게 파는 경우도 있고 어떤 와인은 해외가보다 저렴하게 파는 것도 있고 천차만별이죠.
사실 품종과 국가에 대한 이해 없이 호기심에 구입할 만한 곳은 아닙니다
다만 이마트는 5월 와인장터가 끝나고 균일가라 적어 놓고 계속해서 팔기 때문에 균일가만 고르셔도
눈탱이을 적게 맞을 확률이 있습니다.
근데 문제는 균일가라고 적힌것이 국나 품종 별로 워낙 다양해서 말이죠. 입문자는 참 고르기 힘든....
이미 많은 와인 블로거에서 이마트 코스트코 추천 와인들을 언급해 놓았으니 미리 파악하고
그 와인만 고른다면 쉽게 고를 수 있긴 합니다.
입문자가 구경하러 가서 고르는건 비추
쓰다보니 길어졌는데 도움이 하나도 안되게 글을 적었;;;;
그래서 마지막으로 도움되는 글 하나 적습니다.
와인은 혼자 마시면 참 재미가 없죠.
그래서 주변인들을 끌어들여야 하는데
입문자들은 시고 떫은 맛을 대체적으로 싫어합니다
그래서 시작하는 순서는
달달이 스파클링- 모스카토 다스티 버니니 계열로 시작해서 어느정도 빠져들게 한다음~
-안주는 케익 과일 종류가 좋은데 딱히 한식이나 다른거 먹어도 나쁘지 않습니다
상대방이 원하는 안주~ 튀김도좋겠네요.
여름쯤 화이트 쇼비뇽 블랑으로 산뜻하게 목을 적셔주면 매우 좋아라 합니다.
-안주는 스시나 초밥(초밥이 스시, 어둠의 다크 뭐 이런 느낌) 사시미, 튀김 종류~
어느 정도 화이트에 빠져들었다 싶으면 오키한 캔달잭슨 샤도네이 한 번 마셔주고
이제 레드로 넘어갑니다.
레드는 시고(산도가 높고) 떫은 맛을 내는 경우가 많아 잘못 시도하면 맛업는 레드 와인으로
인상에 남아 망치는 경우가 많으니 품종을 잘 선택하셔야 합니다.
어차피 입문자가 처음부터 섬세하고 우아하고 이런 느낌을 알기는 어려우니 직관적인 것도 좋습니다.
검은 과실향이 풍부한거 위주로 골라주시면 되는데
잔당감이 있는 와인도 좋은 선택입니다.
제일 만만한 캔달잭슨 카버네 쇼비뇽, 1865 등과 같이 따자마자 확 다가오는 스타일 좋고요.
개인적으로는 투핸즈 엔젤스쉐어나 몰리두커 박서와 같이 호주 쉬라즈가 또 여성분들 좋아라 합니다.
어느정도 레드에 빠져들었다면 선택지가 너무 많으니 다 설명하긴 어렵고
프랑스 북론 쉬라, 스페인 리오하 템르라니요, 이태리 베네토 아파시멘토기법으로 만드는
아마로네 계열 먼저 시작하는 것을 추천
그러다 부르고뉴가시면 파산;;; 가지 마세요. 부르고뉴는
나머지는 입문자들 위한 글이니 생략~
(하..무책임하다 무책임해...)
PS. 진짜 마지막 tip 마실 때 온도 좀 제발...
온도 안 맞추고 미지근하게 마시면 소주보다 맛없는게 와인입니다. 아무리 고가 와인도 온도 높으면 맛없어요.
스파클링은 냉장고에서 차갑게 칠링~ 얼음양동이에 물 + 얼음넣고 차갑게 유지
화이트는 11도 내외인데 어쨌든 얼음양동이 필요
레드는 18 내외, 어떤건 16도 내외에 맛있는 경우가 있음 어쨌든 실내온도가 25도 내외이므로
아이스 버킷에 물+ 얼음 조금 넣고 차게 해서 잔에서 온도를 높여 먹든가 아이스 버킷 온도를 18도에 맞추든가 해야함
중요사항 와인잔에 적당히 따르고 끝까지 다 마시고 따라야하는가? 절대 네버 NO
와인양이 줄어들수록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고 줄어든다는 의미가 이미 마시면서 시간이 지나
온도가 상승했을 확률이 높은 상황임
주기적으로 첨잔하여 잔을 채워 온도는 낮춰 줄 필요가 있음
물론 실내온도가 18도면 민감하게 잔을 채울 필요는 없지만~ 18도면 꽤 추운편이고 집안 온도 18도인 경우 거의 없;;;;
아무리 저가 와인도 온도만 맞춰도 꽤나 맛있게 마실수 있는게 와인입니다. 제일 중요~
'각도' 님의 글을 옮겨왔습니다.
.
'생활정보 바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에서 전시중인 현대 포니 전기차 ..... (0) | 2021.04.19 |
---|---|
제한속도 10km 감속했는데....택시요금 차이는? (0) | 2021.04.19 |
을사조약 당시 기념사진 한장 ..... (0) | 2021.04.18 |
세탁세제 제품별 성능비교 ..... (0) | 2021.04.18 |
최근 2개월간 한국 드라마 근황 ..... (0) | 2021.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