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904년 김소월이 세살 때 아버지 김성도가 일본인들에게 폭행당해 정신이상자가 되버린다
그래서 광산을 운영하던 조부집으로 이사하여 아픈 상처를 가진 채 성장한다
남산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15년 평북 정주의 오산학교로 진학했다
오산학교 때 김소월은 3살 많은 ‘오순’을 알게 됐다 둘은 서로 의지하고 상처를 보듬어주며 성장했다
당시엔 조혼 풍습이 유행하던 시기라 조부의 뜻에 따라 오산학교 재학 중인 1916년 14세 때
조부의 친구 손녀인 홍단실과 강제로 혼인했다
세월이 흘러 오순이 19살이 됐을 때 그녀도 억지로 다른 사람과 혼인했다
이후 둘의 연락은 끊겼지만 소월은 외롭고 힘든 성장기에 자신의 아픔을 보듬어주던 오순을 잊지 못한다
그런데 오순이 혼인한 남편이란 작자는 심한 의처증에 걸핏하면 폭력을 일삼았다
결국 3년 뒤 오순이 남편에게 맞아 사망한다
소월은 오순의 장례식에 참석한다 그녀를 기리며 한편의 시를 쓴다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허공중에 헤어진 이름이여
불러도 주인 없는 이름이여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심중에 남아 있는 말 한마디는
끝끝내 마저하지 못하였구나.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붉은 해가 서산마루에 걸리었다
사슴의 무리도 슬피 운다
떨어져 나가 앉은 산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부르는 소리는 비껴가지만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구나
선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김소월의 초혼(招魂),
부를 초招에 넋 혼魂 , 죽은 사람의 넋을 불러본다는 의미
민간에서 초혼으로 부르는 의식은 사람의 죽음이 곧 혼의 떠남으로 믿는바
시에서는 이미 떠난 혼을 불러들여 죽은 이를 다시 살려내고 싶은 간절함과
사별의 한을 구체화한 것이다
절차는 임종 직후 북쪽을 향해 죽은 사람의 이름을 세 번 부르는 고복의식에 근거하였다

1902년 ~ 1934년
.
728x90
반응형
'생활정보 바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코 건설에서 리모델링 한 30년 된 아파트 ..... (0) | 2021.12.15 |
---|---|
2022년 1월 1일 부터 바뀌는 우회전 단속 기준 ..... (0) | 2021.12.15 |
파산 위기라는 일본 교토의 근황 ..... (0) | 2021.12.14 |
'대장금'으로 보는 스토리텔링의 중요성 ..... (0) | 2021.12.14 |
종부세 2억 받은 사람이 '집 팔아서 낼 수 없는' 이유 ..... (0) | 2021.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