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바구니

가덕도 신공항의 문제점 ..... 바다를 매립한 간사히 공항

딸랑이* 2022. 6. 19. 09:02
728x90
반응형

토목시공 및 토목구조 기술사 자격증 보유자 입니다


순수히 토목 엔지니어 입장에서의 가덕도 신공항의 문제점에 대해 함 짚어 보겠습니다

바다 한가운데를 매립해서 공항을 만든다?

일본에 간사히 공항 이라고 있습니다

흔히 말해서 해발 고도에 묶어서 구조물 아래쪽에

 

유압잭을 설치해 침하가 되더라도 보정 하겠다는


신박한 논리로 설계를 했고 시공을 했습니다

100년 기준 침하량을 고려해서 유압잭의 높낮이를 적용 했으나


20년도 안되어서 침하량이 초과되어 여지껏 삽질 중인 공항입니다

심심찮게 침수가 됨은 물론이고


여객터미널 구조물에도 심각한 균열이 발생되고 있죠

해상 매립지는 이래서 위험한 것 입니다

인천공항의 경우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를 매립해서


매우 심도가 낮은 대륙붕에 매립지를 조성한 경우라서 침하에 대해 매우 안정적이지만

간사히 공항의 경우는 매립지 조성 위치가


꽤나 깊은 대륙붕 이라는게 문제이지요

윗 그림에서 보세요

간사히 공항 처럼 바다 한가운데를 매립해서 공항을 만들겠다는 것인데


과연 저 활주로나 여객터미널이 침하가 안생길까요?

이미 일본의 삽질로 증명된 사실을


되풀이 하려는 시도 밖에는 안될 겁니다

향후 침하 문제로 심각한 위험요소가 발생 될 겁니다

침하가 위험한 것은 부등침하 때문이지요


차라리 동시에 같은 수치로 침하하면 뭐 그러려니 하겠지만


구조물 부위마다 침하량이 다르면 균열이 발생 하지요

그럼 그 구조물은 분명 균열이 생기고 심각한 손상이 발생 되지요

방법이 아예 없는건 아닙니다

걍 무식하게 대구경 말뚝 기초로 시공하는 방법이 있겠으나


그 비용은?

배보다 배꼽이 더 크게 되겠지요

저 넓은 공항 부지 전체를 말뚝 시공한다...


그냥 딴데다 공항 만드는게 더 싸게 먹혀요.

728x90

 

아님 아래 사진처럼 섬과 섬 사이에 건설하는 것도 한 방법이긴 한데 ...

 

태풍이 오면 물에 잠겨버리는 일본 간사히 공항

 

 

'불량이얌' 님의 글과 사진을 옮겨 왔습니다.

.

728x90
반응형